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군 훈련 기간

    - 2017.10. 2. ~ 2017.12. 1

    * 저는 9주(1주 가입영주 포함) 훈련이였으나, 공휴일 및 여러가지 이슈가 있어 8주였습니다.

    * 현재는 13주(1주 가입영주 포함) 훈련입니다.

    * 가입영주는 내가 버틸 수 있겠다 없겠다 결정할 기회를 주는 주... 적응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저는 아예 군에 말뚝을 박을 생각으로 허리까지 오는 머리를 단발로 자르고 들어갔습니다. 가입영주가 끝나고 나면 귀까지 파는 짧은 숏커트 머리를 합니다. 지금은 인권문제로 육군처럼 단발로 자릅니다.

    2. 군 입대 기간

    - 2017.12. 1. ~ 2024.11.30.

    3. 해군 의무부사관 257기

    제가 입대 당시 여군 1명, 남군 1명 선발하던 시기였습니다.

    → 이유 : 의무부사관 장기 어려움, 장기, 진급 해야하는 인원 몰려 있었음.

    * 지금은 장기, 진급 못하면 정상인이 아닐거다라고 할 정도로 다 풀려있답니다.!

    → 제 유일한 남군 동기는 이미 의무 복무만 하고 전역했습니다.

    * 의무복무기간 4년 → 7년 : 인원 부족으로 인해 임관 시 애초에 7년으로 시작하니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지원하세요.

    4. 근무지

    - 인천해역방어사령부 의무대, 김포 2사단, 백령도, 해군 교육사령부 의무대, 한산도함, 국군대구병원

    * 참고로 김포 2사단, 백령도는 해병대 입니다. 해병대는 의무부사관 직별이 별도로 없어 해군이 해병부대에서 근무합니다. 행군 및 사격, 포 훈련 등이 많고, 야간에도 있습니다. 의무부사관이 다 지원한다는거 인지하셔야 합니다.

    5. 당직비

    - 평일 5천원, 주말 1만원 시절에 근무했습니다. 2024년 기준 평일 1만원, 주말 2만원이 지급됩니다.

    * 2025년부터 평일 5만원, 주말 10만원으로 시행한다고 하는데, 끝까지 지켜봐야 겠습니다.(여전히 2024년 기준입니다.)

    * 육상 당직비번 당일 0830 ~ 익일(다음 날) 0830 퇴근이 어려운 곳이 대부분입니다. 전 당직서고 2000시 넘어서 퇴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거의 42시간 근무햇죠.

    * 함정 당직비번은 8~12, 12~4, 4~8 이렇게 24시간이 돌아가는데, 제가 있던곳은 사람이 부족해서 8~2, 2~8 이렇게 24시간 돌았습니다. 심지어 8~2 당직자들은 오전에 함정에서 취침하고 오후에 근무했습니다.

    6. 초과근무수당

    - 사전에 미리 체계로 신청해야하고, 부서장 승인도 받아야합니다. 부서장이 퇴근했거나, 깜빡하고 승인 안해준다면, 그냥 그 시간은 봉사의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날렸던 초과근무비용이 많았습니다.

    7. 과한 업무

    - 초임하사 시절부터 업무가 1인 3인 이상의 역할을 했습니다. 심지어 의무부사관임에도 불구하고, 군수담당, 수송담당, 탄약 등의 주사나 수액이 아닌 망치와 못을 더 많이 들고 다녔던 기억도 있습니다. 퇴근은 22시 넘어서 하는 경우 대부분이였고, 휴가는 분기 혹은 반기에 한번씩, 날린 연가들도 많습니다.

    * 개인적인 업무는 거의 못 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8. 개인 자차 환자 후송

    - 개인 차로 환자 후송하는 경우가 많았고, 부대 AMB은 의무지원 나가있거나, 사용하기 어려운 여건이 대부분이였습니다. 자차로 나가더라도 비용 지원이 어려운 출장비 부족 사태와 윗선분들의 눈치때문에 신청 딱 한 번 해봤습니다.

    * 차가 필수이고, 없으면 눈칫밥 먹습니다..

    *** 공무원증 반납은 필수!

    9. 바보가 되는 기분입니다.

    본인의 직별을 살리지 못하는 일을 할 때도 많고, 진짜 응급환자 발생하더라도 싣고 큰 병원 이송이 전부입니다.

    군 생활하면서 수액처치와 예방접종 처치는 손에 꼽습니다. 항상 행정업무가 대다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0. 함정 근무 시 세상과의 단절

    돈... 육상에 근무할 때 보다는 많이 받습니다. 받아야 하고, 솔직히 더 줘야합니다. 휴대폰 USIM칩 제출을 하게 합니다. 가족들과의 연락은 생각보다 쉽지 않고, 걱정을 합니다. 급한 용무 위성전화로만 가능하나 연락 안합니다. 세계 순항을 하면서 바다 위 망망대해를 항해했습니다. 반복되는 일상과 꽉 막힌 함정 생활 할 수 있는거라고는 안전하게 도착하길, 시간이 흐르길 기도하는 것 뿐이였습니다. 멀미가 심한 인원들도 많았으나, 그건 사람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다 생각합니다.

    https://www.news1.kr/diplomacy/defense-diplomacy/5152774

     

    해군 순항훈련전단, 4년 만에 '세계일주'… 141일간 13개국 방문

    해사 78기 151명 등 총 500여명… '지구 1바퀴 반' 3만마일 항해 훈련함 '한산도함'·군수지원함 '화천함' 참가… 군사외교 활동도 우리 해군의 '2023 순항훈련전단'이 28일부터 141일간 13개국 14개항을

    www.news1.kr

    11. 눈치보며 사용하는 정부 복지제도

    친한 후배가 임신을 했으나, 업무가 많은 탓에 육아시간 사용도 어려웠으며, 복귀 후에도 필요한 교육 및 지원 제도들을 사용하면, '양심이 없느냐, 교육 다녀와도 업무 할 수 있냐'는 등의 부적절한 말들로 눈치를 줍니다.

    왜 우리나라가 저출산 시대로 들어섰는지 생각해보고, 현실적인 문제들이 해결되길 바랍니다.

     

    군대가 무조건 나쁘다는게 아닙니다. 하지만 본인이 후회 남기지 않는 선택을 하시면 좋을 것 같아 몇 글자 적어보았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