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1. 9.7 부동산 대책 발표

    지난 7일 정부는 첫 부동산 공급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핵심은 주택 공급을 공공 위주로 재편해 2030년까지 수도권과 서울에 착공하는 주택 물량을 총 135만 가구로 늘리겠다는 계획입니다.

    연평균 약 27만 가구 수준의 공급이 추가되어, 매년 신도시 규모의 주택이 하나씩 조성되는 규모입니다.
     

    📌 공공 주도 공급 의의

    •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업 구조 전면 개편 및 공공 주도 공급 확대
    • 민간 사업이 착공·자금 조달 문제로 지연되는 점을 보완하려는 의도
    • 주택 공급을 빠르게 늘려 장기적으로 주택 안정화 유도

    📌 대출 규제 강화 (핵심)

    •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50% → 40%
    •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수도권·규제지역 내 2억원으로 제한

    ※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을 때 적용되는 담보가치 대비 최대 대출 가능 비율을 의미합니다.

    🪙 2. 금값, 어디까지 오를까?

    올해 금값은 약 37% 이상 급등했습니다. 최근(9월 9일 기준) 트로이온스당 3,682.20달러를 기록하며 연일 최고가를 경신했고, 상승 배경으로는 주로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왜 금값이 오르나?

    • 금은 이자나 배당을 지급하지 않아 금리(특히 실질금리)가 낮아지면 상대적 매력이 증가.
    • 미국 달러 가치 하락·연준의 독립성 우려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금 수요를 늘림.
    일부 전문가와 시장 전망에서는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될 경우 온스당 5,0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 전체 요약 (짧게)

    부동산

    공공 주도 공급 확대 → 단기 공급 증가 기대. 다만 대출 규제 강화로 수요(구매/전세) 측면에서는 자금 조달 부담 증가.

    금값

    금리 인하 기대와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가격 급등. 단기·중기 모두 변동성 큼.

    반응형